연장근로를 자주 하는 근로자라면 ‘연장수당이 제대로 계산됐을까?’ 고민이 많으실 겁니다. 이 글에서는 연장수당 계산 공식, 자동계산기 활용법, 실제 적용 예시까지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끝까지 읽고 자동계산기도 꼭 확인해보세요.
1. 연장수당이란?
연장수당은 법정 근로시간인 1일 8시간, 주 40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할 경우 발생하는 추가 수당입니다. 근로기준법 제56조에 따라 통상시급의 1.5배로 지급해야 합니다.
2. 연장수당 계산 공식
✅ 기본 공식:
연장수당 = 통상시급 × 1.5 × 연장근로시간
(예시)
- 통상시급: 10,000원
- 연장근로시간: 2시간
👉 10,000 × 1.5 × 2 = 30,000원
※ 통상시급은 기본급 및 고정수당 기준으로 산정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전 글 통상시급 계산법 총정리 참고)
3. 연장수당 자동계산기 활용법
복잡한 계산 없이, 아래 자동계산기를 이용하면 1초 만에 내 연장수당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연장수당 자동계산기 바로가기
※ 고용노동부 제공 / 공신력 있는 계산기 사용 권장
사용 방법:
- 월 기본급 입력
- 주 근로시간 선택
- 연장근로시간 입력
- 자동 계산 결과 확인!
4. 자주 묻는 질문(FAQ)
Q. 연장근로시간은 언제부터 계산되나요?
A. 하루 8시간, 주 40시간을 초과한 시간부터 연장근로로 간주됩니다.
Q. 식사 시간은 연장근로에 포함되나요?
A. 일반적으로 식사 시간은 근로시간에서 제외되므로 포함되지 않습니다.
Q. 연장수당이 최저시급보다 낮게 나왔는데 괜찮은가요?
A. 연장수당은 통상시급의 1.5배 이상이어야 하며, 최저시급 미달 시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연장수당 정산, 반드시 확인하세요
많은 사업장에서 연장근로수당을 누락하거나 축소 지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자동계산기를 통해 내 수당을 직접 확인하고, 급여 명세서와 비교해 보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 연장수당은 권리입니다. 자동계산기로 확인하고 놓치지 마세요!
2025.07.14 - [생활] - 통상시급 계산법 총정리|연장수당·야간수당까지
통상시급 계산법 총정리|연장수당·야간수당까지
통상시급은 연장근로수당, 야간수당, 휴일수당 등을 계산할 때 기준이 되는 중요한 임금 요소입니다. 이 글에서는 통상시급의 개념부터 실제 계산 방법, 그리고 자주 묻는 질문까지 자세히 정리
on-octoberfifth.com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상시급 계산법 총정리|연장수당·야간수당까지 (0) | 2025.07.14 |
---|---|
숨은 보험금 조회하기 쉬운 신청방법 (1) | 2025.05.12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신청방법 총정리 (1) | 2025.05.12 |
이상용 별세 사망 l 뽀빠이 아저씨 가족관계 지병 선행 (2) | 2025.05.11 |
K패스 카드 신청방법 및 혜택 안내 (0)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