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시급은 연장근로수당, 야간수당, 휴일수당 등을 계산할 때 기준이 되는 중요한 임금 요소입니다. 이 글에서는 통상시급의 개념부터 실제 계산 방법, 그리고 자주 묻는 질문까지 자세히 정리해 드립니다.
1. 통상시급이란?
통상시급은 근로자의 정기적이고 일률적이며 고정적인 임금을 기준으로 시간 단위로 나눈 금액을 말합니다. 이는 단순한 시급이 아니라, 각종 수당을 계산할 때 기준이 되는 금액입니다.
📌 쉽게 말하면, “시간당 얼마나 일했는가?”보다 “시간당 얼마나 받기로 정했는가?”에 중점을 둔 개념입니다.
2. 통상시급 계산 기준
통상시급은 아래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임금 항목만 포함됩니다.
- 정기성: 매월 정해진 날짜에 지급
- 일률성: 모든 근로자에게 동일하게 적용
- 고정성: 근무 실적과 관계없이 고정 지급
💡 포함되는 예:
- 기본급
-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직책수당, 기술수당 등
❌ 제외되는 예:
- 연장근로수당
- 성과급, 실적수당
- 식대, 교통비(비고정성일 경우)
3. 통상시급 계산 방법
✅ 계산 공식:
통상임금 ÷ 소정 근로시간 = 통상시급
예시)
- 월 기본급: 200만 원
- 소정 근로시간: 월 209시간 (주 5일, 1일 8시간 기준)
👉 2,000,000 ÷ 209 = 약 9,569원 (통상시급)
4. 연장·야간·휴일수당 계산법
통상시급을 기준으로 아래 수당들이 계산됩니다.
🔹 연장근로수당:
- 기준: 통상시급 × 1.5배
- 예: 9,569원 × 1.5 = 약 14,354원
🔹 야간근로수당(22시~06시):
- 기준: 통상시급 × 1.5배
🔹 휴일근로수당:
- 기준: 통상시급 × 1.5배 (8시간 이내), 이후 2배
5. 자주 묻는 질문(FAQ)
Q. 통상시급에 식대가 포함되나요?
A. 식대가 고정적으로 매월 동일하게 지급된다면 포함될 수 있습니다.
Q. 통상시급과 최저시급은 같은가요?
A. 다릅니다. 최저시급은 법적으로 보장된 최소 금액이고, 통상시급은 수당 계산 기준입니다.
Q. 주휴수당 계산할 때도 통상시급을 쓰나요?
A. 주휴수당은 통상시급이 아니라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6. 마무리: 통상시급, 제대로 알고 계산하자
통상시급은 단순한 시급과는 전혀 다른 개념입니다. 각종 수당 계산의 기준이 되는 만큼, 정확한 계산과 구성요소 파악이 중요합니다. 근로계약서 작성 시 반드시 통상임금 항목을 확인하고, 매월 급여 명세서를 통해 수당 산정이 올바르게 되었는지 체크하세요.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장수당 계산기ㅣ추가수당 계산하기 (0) | 2025.07.14 |
---|---|
숨은 보험금 조회하기 쉬운 신청방법 (1) | 2025.05.12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신청방법 총정리 (1) | 2025.05.12 |
이상용 별세 사망 l 뽀빠이 아저씨 가족관계 지병 선행 (2) | 2025.05.11 |
K패스 카드 신청방법 및 혜택 안내 (0)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