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임신, 출산41

임신성당뇨의 종류와 영향, 임신성당뇨 치료 1) 임신성당뇨의 종류 임신성당뇨는 당 조절 수치에 따라 크게 두 가지 군으로 분류됩니다. 첫 번째 군은 식이요법과 운동요법 등으로 당수치가 잘 조절이 되는 군입니다. 이런 경우 임신성당뇨로 인한 태아 사망이나 다른 합병증의 비율이 크게 높지 않습니다. 두 번째 군은 운동 식이요법만으로는 당 조절이 잘 되지 않아 인슐린 치료를 필요로 하는 군으로 이러한 경우 거대아, 태아 폐성숙지연, 사산아의 증가와 같은 태아 합병증이 많이 증가됩니다.  2) 영향거대아 : 임산부의 고혈당은 태반을 타고 태아에게 넘어갑니다. 태아의 몸에서도 높은 혈당을 췌장에서 인식하고 혈당을 처리하기 위하여 인슐린 분비를 늘립니다. 즉, 태아의 고인슐린 상태가 만들어지는데 인슐린은 태아에게 성장촉진인자의 역할을 함으로써 어깨와 몸통에.. 2023. 8. 10.
7개월에 태아는?, 이맘때 태아의 모습, 필요한 검사 1) 7개월에 태아는?손가락을 빨며 젖 빠는 연습을 합니다. 대뇌피질의 발달이 이루어지면서 지각과 운동을 관장하는 부분의 발달이 이루어집니다. 스스로 몸의 방향을 돌릴 수 있게 되며 몸 전체를 컨트롤하는 일이 가능해집니다. 시각과 청각이 발달하여 주변 자극에 적극적으로 반응합니다. 화내는 소리나 시끄러운 소리는 싫어하고 편안한 음악이나 엄마의 목소리는 좋아합니다. 시각도 발달해 밖에서 강한 빛을 쪼이면 움찔 놀라는 등 반응을 보이게 됩니다. 대부분의 태아는 엄마의 골반 쪽으로 머리를 향하게 됩니다. 투명했던 피부가 붉어지면서 불투명해집니다. 얼굴과 몸이 통통해지기 시작하나 지방 축적량이 많지는 않아 아직까지 피부는 쭈글쭈글한 상태입니다. 여아의 대음순이 완성이 되어가며 남아의 성기가 발달하지만 고환은 복.. 2023. 8. 10.
오메가3, 비타민제, 칼슘제, 아연과 마그네슘, 양질의 단백질 1) 오메가 3오메가 3란 탄소 결합구조 중 세 번째 탄소-탄소 결합에 첫 이중결합이 존재하는 다중불포화지방산 전체를 총칭합니다. 오메가3 중 대표적인 지방산으로는 DHA, EPA, 리놀렌산(a-linolenic acid)등이 있습니다. 최근 오메가3 중 하나인 DHA가 태아 지능 발달에 도움을 주고, 조산과 임신중독증의 위험을 낮춘다는 보고가 발표되었습니다. DHA는 뇌신경계 발달에 필요한 성분으로 DHA의 뇌로의 유입은 임신 제 3분기부터 생후 두 살까지의 시기에 가장 활발합니다. 특히 태아의 DHA 유입은 전적으로 태반에서 공급받는 것에 의존하게 되므로 산모의 DHA 섭취는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DHA를 포함한 오메가3 제품을 복용한 산모의 신생아에서 지능지수, 눈과 손의 조화능력, 문제해결.. 2023. 8. 10.
임신 6개월, 21주 차~24주 차, 6개월에 꼭 필요한 정밀 초음파 1) 임신 6개월 차태아는 눈꺼풀을 감았다 떴다 할 수 있습니다. 눈꺼풀이 떨어지면서 양수 안에서 눈을 깜박깜박 하는 것입니다. 눈썹과 속눈썹이 자랍니다. 또 미각이 발달하기 시작하여 엄마가 먹은 음식의 단맛과 쓴맛을 느끼게 됩니다. 태아는 볼에 살이 붙기 시작하고, 이마를 찡그리거나 입을 내미는 등의 다양한 표정을 지을 수 있게 됩니다. 주변 소리에 민감해지면서 음악 소리레 따른 반응을 하기 시작합니다. 태동이 본격적으로 강해지기도 합니다.  2) 21주 차~24주 차 21주 : 뼈와 근육이 튼튼해져서 태동이 좀 더 세게 느껴집니다. 태아는 눈동자를 빠르게 움직입니다. 이 시기부터는 태아 몸 안의 골수에서 혈액을 만들어내기 시작합니다. 태아 뇌는 80% 이상 발달하여 보통 성인과 비슷한 뇌 기능을 갖습.. 2023. 8. 10.
질 분비물 증가, 임신 중에 생길 수 있는 질염, 임신 중기의 철분제, 효과적인 철분제 복용법 1) 질 분비물 증가 임신 중 증가된 여성호르몬은 자궁경부에 영향을 주어 점액생산 및 분비를 증가시킵니다. 이에 따라 유백색의 냉이 많아집니다. 다만 냄새나 가려움 등을 동반하지는 않습니다. 냉의 증가는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이에 못지않게 냉 안의 증가된 글리코겐과 호르몬의 영향으로 질염 또한 임신 전보다 더욱 호발 하게 됩니다.  2) 임신 중에 생길 수 있는 질염칸디다성 질염 : Candida albicans가 원인균으로, 치즈같은 하얀색의 두터운 냉이 증가되며 심한 가려움증과 화끈거리는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대개 먹는 약을 이용하지 않으며 질정을 사용하여 경과를 관찰합니다. 칸디다성 질염은 임산부 2명 중 1명이 겪게 되는 굉장히 흔한 질염으로 조산이나 자궁 내 태아감염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트.. 2023. 8. 10.
양수 검사, 양수 검사의 합병증, 양수 검사로 발견할 수 있는 질환, 양수 검사시 주의사항, NIPT 1) 양수 검사 임신 중기인 임신 15주에서 20주 사이에 시행되는 양수천자는 안전성과 정확성이 인정된 가장 널리 시행되는 산전 진단법입니다. 초음파를 시행하여 태아와 탯줄을 피해 양수를 채취할 포켓을 파악한 다음 얇은 바늘(20-22 게이지)로 양수를 뽑아내는 검사입니다. 보통 20cc 정도의 양수를 채취하며 양수는 투명하고 노란색을 띠고 있습니다.  2) 양수 검사의 합병증양수 검사로 인한 합병증은 실제로 그렇게 많지는 않습니다. 일시적인 질출혈 또는 양막 파수가 1~2%에서, 융모양막염은 0.1% 미만으로 발생합니다. 바늘에 의한 태아손상은 실제로 초음파로 모니터를 하면서 시행하기 때문에 많지는 않지만 드물게 발생하기도 합니다. 합병증은 0.2~0.5% 정도 발생하며 가장 심각한 합병증은 자연유산 .. 2023. 8.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