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임신, 출산41 산부인과 방문 적당한 시기, 정상 임신이 아닐 때, 산부인과 방문 시 알아야 할 것 1) 산부인과 방문 적당한 시기가장 적절한 시기는 생리예정일이 1~2주 정도 지났을 때입니다. 보통 임신테스트기에서 두 줄을 확인하면 빨리 산부인과에 가서 몸 안에 생긴 아기집을 보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바로 병원에 가면 아기집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일주일 뒤에 재방문하라는 요청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보통 수정란은 수정 후 5일이 지나야 자궁 안쪽으로 들어와서 자리를 잡기 시작합니다. 이렇게 자리를 잡는 과정을 '착상'이라고 합니다. 착상을 하여 세포분열을 거듭하여 아기집을 만들고, 그 안에 난황난과 아기가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은 보통 착상 후 2~3주 정도 걸립니다. 임신테스트기에 양성이 나와도 눈으로 보는 초음파로는 아기집이 안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음파를 통해 아기집이 확.. 2023. 8. 8. 출산휴가, 육아 휴직 제도, 육아기 근무시간 단축제도, 유산휴가 1) 출산휴가, 육아 휴직 제도대개 '출산휴가'로 불리는 휴가의 정식명칭은 '출산전후휴가'입니다. 근로기준법의 임산부 보호조항에는 출산 전과 출산 후를 합하여 90일의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때 휴가 기간의 배정은 출산 후에 45일 이상 쉬도록 정해놓고 있습니다. 배우자 출산휴가제는 부인이 출산한 경우 사업장 규모에 상관없이 남편이 출산 전후로 5일의 범위 안에서 3일 이상의 휴가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5일 중 3일은 유급휴가이며 출산일로부터 30일 이내 사용해야 합니다. 육아휴직제도는 만 6세 이해 영유아를 가진 워킹맘이나 배우자에게 각각 3년, 1년 한도로 휴직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휴직 기간은 각각 3년 한도로 하고 그 기간은 경력으로 인정받아 근속연수나 퇴직.. 2023. 8. 8. 임신과 목욕탕, 구강관리, 담배, 임신 중 스타일링 1) 임신과 목욕탕고온을 피하기 : 태아는 외부열이든 내부열이든, 열에 의해 손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열과 임신의 관계에 대한 기니피그 동물 실험에서, 임신 중인 기니피그의 체온을 1.5도 정도 상승시키자 뱃속 기니피그의 중추신경계와 팔다리에 기형이 발생하였습니다. 아직까지 정확하게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 결과는 없지만 임신 중 태아에게 가해지는 열은 중추신경계의 손상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특히 임신 초기에 엄마 체온이 38.9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될 경우 태아 중추신경계 발달에 영향을 주어 신경관 결손이나 심장기형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따라서 임신 중 목욕탕에 들어갈 때 목욕탕 온도가 39도 정도면 15분 이내, 목욕탕 온도가 40도 정도면 10분 이내가 적당하며 고온의 .. 2023. 8. 8. 엽산, 철분제, 비타민, 오메가3, 종합비타민, 칼슘제 1) 엽산임신 초부터 임신 3개월까지는 엽산의 적절한 보충이 필요합니다. 엽산은 수용성 비타민의 일종으로 핵산과 적혈구를 생성하고, 태아와 태반의 성장에 관여합니다. 착상 전후기에서 임신 3개월까지 기간 중 엽산 결핍은 태아의 신경관 결손 등의 선천성질환과 관계가 있습니다. 하루 엽산의 요구량은 600ug입니다. 보통 우리가 흔히 먹는 쌀, 밀가루 등의 곡물, 푸른 잎채소에 엽산이 풍부히 들어 있어 평균적으로 200ug은 식품을 통해 섭취가 됩니다. 따라서 임신을 준비하거나 임신 초기라면 하루에 엽산 400ug을 섭취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만약 이전에 신경관 결손의 아기를 분만한 적이 있다면 이보다 10배 많은 4mg의 섭취를 해야 합니다. 임신 초기 혹은 임신을 계획한다면 엽산단일제제 혹은 엽산이.. 2023. 8. 8. 약물과 태아의 영향, 금기약 파악하기, 주의해야 할 약 1) 약물과 태아의 영향대다수의 약물은 태아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실제로 기형이나 다른 합병증을 끼친 예는 소수에 불과합니다. 즉, 임신 중 약물 복용으로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는 적으며 대부분의 약이 태아에게 직접적인 큰 영향은 끼치지 않지만 백 퍼센트 안정성에 대한 확증이 어려운 것뿐입니다. 2) 금기약 파악하기임신 중 복용하면 안 되는 약은 소수입니다. 이런 약의 경우 임산부가 복용함으로써 태아에게 악영향을 끼쳤던 사례가 있었기 때문에 '임신 중 금기약'으로 분류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악영향과 부작용 사례가 밝혀진 약보다 특별히 문제가 보고된 적은 없지만 백퍼센트 안전하다고 말할 만한 임상적인 연구결과가 없는 약이 대부분입니다. 이러한 경우 동물실험을 통해 그 안전성을 보.. 2023. 8. 8. 이전 1 ···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