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신, 출산

제왕절개가 필요한 경우, 제왕절개 분만의 장점과 단점

by 나누미언니 2023. 8. 12.
반응형

1) 제왕절개가 필요한 경우

태아가 역아인 경우 : 태아 몸에서 가장 큰 머리가 밑을 향하지 않고 위로 있으며 태아의 엉덩이가 자궁경부 쪽에 위치하는 것을 말합니다. 태아의 엉덩이나 다리는 효과적으로 자궁경부 개대를 진행시키지 못합니다. 정상적인 분만 진행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또한, 분만과정에서 열린 자궁경부를 통해 다리가 일부 먼저 빠지게 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태아는 치명적인 손상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역아의 경우 진통이 걸리기 전 계획 하에 제왕절개술을 시행합니다. 

태아가 횡위인 경우 : 역아와 마찬가지로 효과적인 분만진통이 이루어지지 않고, 분만 도중에 태아의 팔이나 손과 같은 일부분만 빠져나가게 되어 치명적인 태아 손상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태아가 횡위인 경우에도 계획 하에 제왕절개술을 시행합니다. 

자궁근종절제술 과거력이 있는 경우 : 자궁근종은 자궁근육 내 생긴 혹입니다. 근종을 제거 시 그 부분의 혹을 떼어내고 근육을 한 번 봉합하는 과정을 겪게 됩니다. 즉 이전에 자궁근종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수술한 부위는 아무래도 다른 정상적인 부위보다 약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극심한 진통이 오는 상황에서 약해진 수술 부위가 뜯어지거나 벌어지는 자궁 파열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전에 자궁근종절제술을 시행받은 과거력이 있다면 계획하여 제왕절개술을 시행합니다. 단, 정확히 어느 위치에서 어느 정도의 근종을 제거했었는지 명확한 수술 기록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간혹 자궁근육 내 근종이 아닌 자궁근육 바깥쪽으로 달려 있던 근종을 제거한 경우는 자연분만을 시도해보기도 합니다. 

제왕절개술 과거력이 있는 경우 : 제왕절개술을 시행받은 산모의 자궁은 가로로 크게 한 번 잘라서 그쪽을 통해 아기를 꺼내고 난 뒤 봉합을 한 상태입니다. 한 번 절개와 봉합을 거친 부위의 근육은 약해져 있는 상태로 분만 중 진통이라는 큰 스트레스가 오는 경우 뜯어지거나 벌어지는 자궁 파열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전 제왕절개술을 받은 적이 있다면 계획하에 제왕절개술을 시행합니다. 자궁 파열이 발생하면 태아와 산모의 생명을 보장할 수 없는 심각한 상태가 됩니다. 제왕절개술을 시행받은 사람들이 자연분만 시도를 고려할 경우 이점을 반드시 주의하고 고려해야 하며 의료진에게 충분한 설명과 주의를 듣고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전치태반인 경우 : 전치태반이란 태반이 자궁 뒤쪽이나 안쪽이 아닌 태아가 나와야 하는 자궁경부 쪽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입니다. 자궁수축이 진행이 되면 자궁경부는 점점 얇아지며 벌어져야 합니다. 하지만 그 부위에 태반이 있다면 자궁경부가 얇아지고 벌어지는 과정에서 태반이 태아가 자궁 밖으로 나오기도 전에 먼저 무너져 내리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태아는 엄마 몸 밖으로 완벽하게 나오기 전까지는 태반과 탯줄에 의존해서 산소공급을 받고 있는 상태로 태반이 먼저 무너지면, 산소공급을 받지 못하는 상태가 됩니다. 저산소증으로 뇌손상을 입거나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태반이 입구 쪽을 막고 있는 전치태반의 경우에는 자연 진통이 발생하기 전 제왕절개술을 시행해야 합니다. 

태아임박가사인 경우 : 태아임박가사란 태아가 진통 진행 중에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아 뇌손상을 받고 이것이 지속될 경우 생명에도 지장이 생기는 상태로 향하고 있는 것을 말합니다. 진통이 진행되면 강한 자궁수축으로 인해 태반을 통한 혈액 공급이 줄어들게 됩니다. 또한 태아 머리가 골반뼈 안으로 들어오게 되며 태아 머리 쪽으로도 눌리는 압박을 받게 됩니다. 여기에 탯줄을 통한 원활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태아는 숨 막히는 상황에 처합니다. 이런 경우 심장박동이 정상에서 벗어나 점점 느려지고, 심장박동의 변동성이 감소하게 됩니다. 머리가 진통에 의해 눌리며 일시적으로 힘들어하는 경우 진통이 지나가고 나면 다시 심장박동이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일시적인 심박동의 저하와 다시 정상으로 돌아오는 심장박동은 분만 중에 흔하게 있을 수 있는 증상입니다. 그러나 계속적으로 심장박동이 저하되며 진통이 없는 상태에서도 회복이 잘 되지 않고 힘들어하는 듯 보이는 심장박동이 보인다면 태아가 많이 힘들어하고 뇌손상을 받고 있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경우 의료진의 권고사항에 따라 응급제왕절개술을 결정하게 됩니다. 

분만 진행이 안 되는 경우 : 태아가 골반뼈로 들어오면 좁은 산도를 통과하기 위하여 적절하게 머리를 나사가 조여지듯이 회전을 해주어야 합니다. 머리와 몸의 적절한 방향과 회전이 산도를 통과하게 해주며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적절한 자궁수축력이 태아를 밑으로 점점 밀어내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태아의 머리 크기와 엄마의 골반뼈 크기가 잘 안 맞고 태아의 방향이 나사의 반대 방향으로 조여지듯이 놓여 있는 경우 다시 원래의 위치를 찾거나 골반뼈 안으로 머리가 통과하기가 힘들어집니다. 이러한 경우 계속적인 자궁수축은 있으나 더 이상 태아가 내려오지 않습니다. 또한 자궁경부도 더 이상 열리지 않게 됩니다. 이러한 경우 최대한 기다려보지만 정상적인 분만 곡선과 비교하여 너무 진행이 안 될 경우 다시 정상적으로 통과하여 진행될 확률이 낮아집니다. 그리고 이 시간이 길어지면 태아와 산모에게도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한 범위 내에 진행 경과를 지켜보다가 수술이 필요하다 판단이 내려질 때에는 의료진의 권고사항에 따라서 응급제왕절개술을 결정합니다. 

태변으로 양수가 심하게 착색된 경우 : 태아가 분만이 가까워지면 본인의 분변을 가지고 있습니다. 태아가 태내에서 변을 본다는 것은 편안한 상태가 아니라 장 운동이 항진되고 괄약근이 풀리는 불편한 상황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많은 양의 태변은 태아 스스로 양수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태아 폐로 들어가 화학적 폐렴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살짝 태변이 비친 것은 분만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짙은 태변 착색은 진통 과정 중 뱃속에서 태아가 어떠한 불편한 상황으로 힘들어하고 있음을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그 태변이 착색된 양수는 태아에게 태변흡입증후군을 일으킬 확률을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런 겨이우 분만 진행 정도와 태아 심박동모니터 상태를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의료진의 권고사항에 따라 응급제왕절개술을 결정하게 됩니다. 

 

2) 제왕절개 분만의 장점과 단점

장점으로는 회음부위에 상처가 없고 골반장기탈출증, 요실금, 치질과 같은 분만 시 발생하는 손상이 적고 태아임박가사 등 분만 중 예상하지 못한 태아손상 위험이 적습니다. 반면에 단점으로는 출혈량이 많으며 회복 시간이 오래 걸려 수술 후 통증이 더 심하다는 것입니다. 수술 부위 상처가 배에 보이게 남으며, 수술 중 비뇨기계 손상(방광, 요관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